
안녕하세요. 한국철도 명예기자단 12기 김선우입니다. 이번에는 서울로 7017을 다녀왔습니다. 서울역 7017이라는 이름은, 서울역 고가도로가 처음 개통한 1970년과 공원으로 재탄생한 2017년도를 상징하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울역은 1900년 경인선이 처음 개통할 때 남대문정거장으로 개업하여 1923년 경성역, 광복 후인 1947년에 서울역으로 이름이 바뀌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서울특별시를 대표하는 역입니다. 1970년도 경제 고도성장기에 완공된 서울역 고가는 당시 경제 발전의 상징과 같은 고가도로였습니다. 그러나 노후화로 2010년대에 들어 안전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고, 2017년도에 '서울로 7017'이라는 고가 공원으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서울역 옥상정원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

올해 말이면 동해선의 일부인 포항~태화강 복선전철이 개통하게 됩니다. 이 노선이 개통하게 되면 기존에 포항~경주 구간의 동해남부선 기존 철도는 운행이 중단됩니다. 올해 말이면 사라지는 포항~태화강 구간을 담아 보았습니다. 이번에 이설되는 역 중 하나인 안강역입니다. 동해선 복선전철이 새로 개통하면 안강역은 이곳에서 약 2km 남쪽에 새로 건설된 신역사로 대체됩니다. 나원역입니다. 나원역 역시 올해 말이면 서쪽으로 3 km 정도 떨어진 곳에 새로 건설되는 나원역 신역사가 이 역을 대체하게 됩니다. 마침 시간이 맞아 나원역을 통과하는 무궁화호 열차를 촬영해 보았습니다. 매연을 뿜으며 달리는 RDC 무궁화호 열차. 이 열차도 운행이 중단될 날이 머지 않았습니다. 이 열차가 지금 달리는 선로도, 열차도 곧 사라..
흔히 담배를 피는 사람들은 담배를 못 끊는 이유를 이렇게 말한다. 담배를 처음 피울 땐 기분이 좋아져서 폈지만, 중독되고 나면 안 피면 기분이 안 좋아지고, 펴야 정상 기분으로 돌아온다고, 그래서 끊을 수 없다고. 카페인도 그런 것 같다. 처음엔 피곤해서 시험 기간 같은 때에만 졸음을 떨치기 위해 마셨지만, 지금은 하루에 아메리카노 한 잔 이상 마시는게 일상이 됐다. 안 마신 날은 하루종일 피곤해서 컨디션이 떨어진다. 최소한 하루에 카페인 140mg은 먹어 줘야 버틴다. 피곤할 땐 거기에 샷을 한번 더 추가하거나 커피를 하루에 서너잔 씩 마시기도 한다. 이젠 밤에 커피를 마셔도 그 날 잠은 잘 온다. 근데 또 아메리카노가 제일 맛있다. 칼로리도 없고, 그냥 맛있어서 먹고, 포션처럼 먹는다. 아메리카노가 ..

안녕하세요. 국가철도공단 레일싱어 8기 김선우입니다. 지난 9월 30일 목요일, 국가철도공단 KR홍보대사, 기자단 합동 워크숍이 이루어졌는데요. 코로나19 상황이 여전히 심각한 만큼, 만나서 직접 진행하는 것이 아닌 '게더타운'을 이용해 비대면 온라인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게더타운은 메타버스 프로그램 중 하나인데요.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의미인 '메타'(meta)와 세계, 우주 의미인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 공간을 말합니다.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으로써 코로나19로 재택 근무가 잦아진 이후 가상 업무 공간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국가철도공단 워크숍도 게더타운에 구현된 가상 공간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메타버스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워크숍을 진행하는게 아쉬우면서도..

'대전' 하면 다들 성심당이 먼저 떠오르실텐데요. 게다가 몇년 전 대전역 구내에도 성심당이 오픈하면서 대전을 들릴 때 마다 항상 성심당을 들리고 가게 된 듯 합니다. 그런데, 성심당 본점에 가면 빵집 뿐만 아니라 성심당에서 운영하는 식당도 있다고 하는데요. '테라스키친' 함께 찾아가 보실까요? 보통 대전에 방문한다면 대부분 대전역을 통해 대전에 방문하게 됩니다. 대전역은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선이 모두 정차하는 역으로, 일반열차 뿐 만 아니라 KTX, SRT 고속열차들도 모두 정차합니다. 대전역에서 성심당 본점으로 이동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성심당과 테라스키친은 중앙로역 2번 출구 인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하철로 한 정거장 거리라 대전역에서 도보로도 15분 정도면 이동할 수 있으며, 지하철을 ..

사람들이 북적이는 시내 한 가운데에 계곡이 있다면 믿겨지시나요? 충청북도 제천시 시내 한 가운데에 조성된 '제천 시냇길'이 바로 그것입니다. 제천 시냇길은 제천시의 가장 큰 번화가인 제천 문화의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제천 문화의거리는 어느 지방 도시 부럽지 않을 정도로 상권 형성이 이전부터 잘 되어 있던 곳이었는데요, 요즘 지방 도시들이 많이 쇠퇴하면서 지방 상권도 함께 쇠퇴하고 있는 도시들이 많은 것과 달리, 제천시에서는 원도심의 상권 유지를 위해 이전부터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제천 시냇길'은 이러한 노력 중 하나로 시내 한 가운데 계곡을 만들어 시민들 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 온 관광객들도 더욱 걷고 싶고 찾아가고 싶은 거리로 조성했습니다. 제천 시냇길은 단순 보기에만 이쁜 계곡이..
안녕하세요. 한국철도 명예기자단 12기 김선우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구역,동대구역을 소개하고 그 주변 볼거리들이나 맛집을 소개 해 드리려고 합니다! 국내에서 가장 열차가 많이 정차하는 동대구역 동대구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자, 우리나라에서 이용객이 서울역 다음으로 2번째로 많은 역입니다. 동대구역을 지나는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모든 열차가 동대구역에 정차하는데요. 경부선과 대구선의 분기역이기도 하면서 대구선 열차들의 종착역이자 환승역 역할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경부선 열차 뿐만 아니라 대구선 모든 열차, 대구선을 통해 동해선과 중앙선으로 향하는 노선들의 열차들까지 모두 동대구역에 정차하는 만큼, 규모도 크고 승객도 크고 정차하는 열차도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철도 명예기자단 12기 김선우입니다 :) 바로 내일, 8월 31일부터 추석 명절 기차표 예매가 시작되는데요. 예매 일정과 방법을 함께 알아볼까요? 8월 31일은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경로/장애인 분들을 위한 우선 예매가 진행되며, 전화 접수도 가능합니다.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는 9월 1부터 추석 명절 기차표 예매가 시작됩니다. 9월 1일과 9월 2일 각각 오픈이 시작되는 예매 대상에 차이가 있으니 자세한 예매 일정은 위의 표를 참고해주세요! 잔여석 판매는 9월 2일 목요일 15:00 부터 시작되며 코레일톡·철도고객센터(ARS포함)·자동발매기는 잔여석 판매 시부터 예매 가능합니다. □ 예매매수 : 1인당 최대 8매(1회당 4매 이내) * 장애인·경로 전화접수는 1회 3매 총 6매 제한, 결..